반응형
디바이스 해상도
- 정의 : 디바이스 화면을 구성하는 실제 픽셀(pixel)의 수
- 웹 퍼블리싱 작업에서는 CSS 해상도(뷰포트)를 기준으로 작업
디바이스 해상도 기본 개념
물리적 해상도 (Physical Resolution, 실제 해상도)
- 바이스 화면에 실제로 존재하는 픽셀의 수
- 예: 아이폰 13 Pro → 1170 x 2532 (물리 픽셀)
CSS 해상도 / 논리 해상도 (CSS Resolution, Logical Resolution)
- 웹 브라우저에서 인식하는 해상도
- 디바이스 픽셀을 CSS 픽셀로 변환한 값
- window.innerWidth, width: 100vw 등에서 이 값을 기준으로 레이아웃이 잡힘
- 예: 위 아이폰의 CSS 해상도는 390 x 844
[ 아이폰 화면 전체 (물리 해상도 1170px) ]
└─── 웹 브라우저가 CSS 기준으로 보는 영역: 390px
[ CSS 뷰포트 ]
┌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┐
│ 웹 콘텐츠가 실제로 그려지는 공간 │ ← 390px (CSS 기준)
└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┘
디바이스 픽셀 비율 (Device Pixel Ratio, DPR)
- DPR = 물리 픽셀 / CSS 픽셀
- 고해상도 디스플레이일수록 이 비율이 높아짐
- 예: DPR 3 → 하나의 CSS 픽셀이 3x3 = 9개의 실제 픽셀로 표시됨
해상도 대응 전략
| 전략 | 설명 | 예시 |
| 미디어 쿼리 | 특정 너비 이상/이하에서 스타일 분기 | @media (max-width: 768px) |
| 적절한 breakpoint 정의 | 최소/최대, 적용할 breakpoints 정의 | $breakpoint-xs: 360px; // 작은 모바일 $breakpoint-sm: 480px; // 일반 모바일 $breakpoint-md: 768px; // 태블릿 $breakpoint-lg: 1024px; // 작은 노트북 $breakpoint-xl: 1280px; // 데스크탑 $breakpoint-xxl: 1440px; // 와이드 데스크탑 |
| 이미지 소스 변경 | <picture> 태그나 srcset 사용 | 모바일 전용 이미지 |
| DPR 대응 | 고해상도 이미지 제공 (2x, 3x) | background-image: url(image@2x.png) |
| 유동 그리드 | flex, grid, auto-fit, minmax() 활용 | CSS Grid로 1~4열 구성 |
| vw/rem 기반 유동 레이아웃 구성 | %, vw, vh, rem, em 등 사용 권장 |
반응형
'Responsive > Res-Basi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[Responsive] Mobile First vs Desktop First (4) | 2025.08.06 |
|---|---|
| [Responsive] 반응형 vs 적응형 (3) | 2025.08.06 |
| [Responsive] 레티나(Retina) 디스플레이 (1) | 2025.07.31 |
| [Responsive] 반응형 이미지 - 레티나(Retina) 이미지 (1) | 2025.07.31 |
| [Responsive] 뷰포트(viewport) (1) | 2025.07.31 |